About Me
About
인하우스 통역사 생활 10여년, 많은 일이 있었지만 그중에 저를 가장 놀라게 했던건 AI의 등장이었습니다. AI 기술이 정말로 언젠가는 나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제 나 어떡하지?"와 "도대체 AI가 뭐길래..." 위기감과 호기심이 동시에 찾아왔습니다. 그리고 AI의 발전은 조금 느슨하고 단조로웠던 제 일상에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AI는 어떻게 내가 하는 일을 대신하게 된 것일까." 이 궁금증이 저를 개발의 세계로 이끌었습니다.
현재는 백엔드 부트캠프 과정을 통해 Python, Django, FastAPI, AWS 등을 배우며 기본기를 쌓고 있습니다. 파이썬을 이용해 단순한 파이썬 문법 퀴즈도 만들어 보기도 했고, SQL 워크밴치를 사용해 데이터를 관리하는 법을 익히기도 했습니다. 단순히 코드를 배우는 것을 넘어서,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어떤 방식으로 백엔드 시스템을 구성해야 하는지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개발을 배워서 뭘 할건지 물으면, 아직까지 제 대답은 "글쎄?"입니다. 하지만 분명한건 저는 지난 달보다 조금 더 개발과 AI를 이해하고 있고, 앞으로 매일, 매주 좀 더 AI에 다가가고 있을 것이란 사실입니다. 개발을 배우며, 다른건 몰라도 하나는 확실이 알게 되었습니다. "이 배움에는 끝이 없구나."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가 등장하고 어제의 영광은 더이상 오늘을 보장하지 않는 시대가 온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마 저는 내일도, 또 다음달에도 내년에도 좀 더 새로운 무언가가 되기 위해 패달을 밟고 있을 것 같습니다. 개발과 AI 그리고 통역사 사이 어딘가를 오가며 세상에 조금 더 쓸모있고 스스로에게 조금 더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그런 누군가로 오늘을 살고 내일을 마주하기를 바라며, 계속 배우는 그런 개발자가 되어가고 있을 겁니다.
Introduction
I spent over ten years working as an in-house interpreter. I experienced many things over time, but nothing surprised me as much as the rise of AI. For the first time, I truly realized that technology might one day replace what I do. I found myself caught between two thoughts — “What am I going to do now?” and “What exactly is AI?” It was a mix of anxiety and curiosity that pushed me out of my comfort zone.
The rapid progress of AI gave new energy to what had become a rather steady and predictable routine. I wanted to understand: How could AI possibly take over something human used to do? That question led me to the world of software development.
Now, I’m studying backend development through a bootcamp, learning Python, Django, FastAPI, and AWS. I’ve built small Python quiz apps, practiced managing data with SQL Workbench, and spent time understanding how backend systems are structured for efficiency and scalability. For me, learning to code isn’t just about writing syntax — it’s about understanding how systems work and how data flows within them.
When people ask me what I plan to do with all this, my honest answer is still, “I’m not sure yet.”
But I do know this: I understand a bit more about development and AI than I did last month — and every day, I’m getting closer to understanding the technology that once made me anxious. One thing I’ve learned for certain is that learning in this field never ends. New frameworks appear overnight, and yesterday’s knowledge quickly becomes outdated. It’s a fast, humbling world — and that’s what makes it exciting.
So I’ll keep pedaling forward — tomorrow, next month, and next year — somewhere between AI, development, and my old life as an interpreter. My hope is to become someone who’s both useful to others and quietly proud of what I create, a developer who keeps learning, one day at a time.
기술 스택
- 언어: Python, Korean, English
- 백엔드 프레임워크: Django, FastAPI, Flask
- 데이터베이스: MySQL, PostgreSQL, SQLite
- 배포 및 클라우드: AWS, Vercel
- 도구: Git (버전 관리), VSCode & PyCharm (개발 환경)
배움의 과정에 있습니다. 최소 하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더 배우고, 기존이 배운 프레임워크와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지식을 강화하는 것이 앞으로 6개월 내 목표입니다.
Technical Skills
- Languages: Python
- Backend Frameworks: Django, FastAPI, Flask
- Databases: MySQL, PostgreSQL, SQLite
- Deployment & Cloud: AWS, Vercel
- Tools: Git (Version Control), VSCode & PyCharm(Development Environment)
I'm in the process of actively learning. For the next six months, my goal is to learn one more programming language, and reinforce my knowledge on Backend Frameworks and Database.
블로그 & 글쓰기
테크블로그를 운영중입니다. LeetCode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고, 공부한 뒤 한국어 사용자들의 LeetCode 입문을 위해 솔루션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주제: LeetCode 문제 해설, Python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기초 개념
LeetCode 해설 블로그 방문하기Blog & Writing
I run a tech blog where I explore various approaches to solving LeetCode problems. After studying and understanding different solutions, I organize and share them to help Korean-speaking developers get started with LeetCode.
Blog Topics: LeetCode problem solutions, Python algorithms, programming fundamentals
Visit My LeetCode Blog